2025년 09월 03일
소방 R&D 예산 503억 원 투입…국방 첨단 기술로 재난 대응력 높인다

´ëÀü¼Ò¹æº»ºÎ°¡ 22ÀÏ ¿ÀÈÄ ´ëÀü À¯¼º±¸ ºÀ¸íµ¿ ö°Å¿¹Á¤ °Ç¹°ÀÎ À¯¼ºÈ£ÅÚ °Ç¹°À» Ȱ¿ëÇØ °¡»óÈ­Àç ÀÎ¸í±¸Á¶ ¹× Áø¾ÐÈÆ·ÃÀ» ½Ç½ÃÇϰí ÀÖ´Ù. À̹ø ÈÆ·ÃÀº ±¹¹æ°úÇבּ¸¼Ò¿¡¼­ ¿¬±¸½ÇÇè Áß Æø¹ß·Î ÀÎÇÑ È­Àç ¹× À¯ÇØÈ­Çй°Áú À¯Ãâ »óȲÀ» °¡Á¤ÇÑ È­À硤±¸Á¶ºÐ¾ß ÆÀ ´ÜÀ§ Àü¼úÈÆ·ÃÀ¸·Î ÁøÇàµÆ´Ù.2024.10.22/´º½º1

소방 R&D 예산 503억 원 투입…국방 첨단 기술로 재난 대응력 높인다

내년부터 소방 연구개발(R&D)에 503억 원이 투입된다. 이는 올해보다 65% 증가한 규모로, 기후 위기와 친환경 교통수단 사고 대응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연구 과제가 더욱 신속하게 추진된다. 특히 국방 분야에서 검증된 근력 강화 슈트, 고중량 드론 등 10가지 첨단 기술이 소방 현장에 본격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정부는 3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소방 R&D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그동안 재난 위험 증가와 소방 수요 확대에 비해 소방 R&D 투자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정부는 소방 R&D 역량과 체계를 근본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추진한다.

첫 번째 방안은 국방 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다. 앞으로 소방관들은 위험한 현장에 직접 뛰어드는 대신, 국방 분야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된 첨단 기술의 지원을 받게 된다. 이를 위해 소방청, 국방부, 방위사업청이 참여하는 ‘국방-소방 기술협의체’가 구성되었다. 이 협의체는 현장 적용성이 높은 근력 강화 슈트, 고중량 드론, 수중 탐색 플랫폼, 플라즈마 살균기(구급차 소독) 등 10가지 국방 기술에 대한 현장 실사를 마쳤다. 이 기술들은 올해 말까지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발전시켜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소방청은 협의체를 통해 재난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발굴해 제안하고, 방위사업청은 이에 적합한 국방 기술을 검토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양측은 R&D 수요와 계획을 공유하고 공동 연구 개발을 활성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기술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두 번째 방안은 소방청의 자체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내년 정부 예산안으로 확정된 503억 원을 투입하여 기후 위기, 친환경 교통수단 사고 대응, 소방 시설 화재 적응성 평가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연구 과제들을 앞당겨 추진한다. 행정안전부는 소방청과 연구원들의 조직을 진단하고, 과제 수행부터 성과 관리까지 최적의 조직 운영 방안을 설계하여 소방청의 R&D 연구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소방청은 중장기 방향 설정과 예산 수립 등 총괄적인 관리 역할을 수행하며, 국립소방연구원은 예비 연구, 실제 검증, 실용화를 담당하는 등 소방 R&D 조직의 기능과 역할을 체계화할 예정이다. 특히 내년 공주에 완공될 국립소방연구원 신청사는 첨단 실증 및 융합 연구의 거점으로 활용된다. 이를 통해 소방대원의 안전 장비 성능 검증, 화재 성상 연구, 소방 산업체와의 합동 연구가 강화되어 소방관들은 더욱 안전한 장비를 사용하게 되고, 기업들은 첨단 연구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 방안은 국내 소방 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소방 산업계에 기술 사업화와 해외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과 정부가 협력하는 ‘소방산업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업계의 애로사항을 해결한다. 또한,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낸 제품은 ‘혁신 제품’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기업들이 공공 조달 시장 등 판로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계획이다. 김민석 총리는 “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재난·사고 현장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소방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하며, “정부는 드론, 로봇, 센서 등 검증된 첨단 국방 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극 활용하고, 소방 연구 성과가 산업 수출로 이어져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