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국산 밀을 재배하는 농가는 어떤 품종을 선택할지 결정하기가 한결 수월해질 전망이다. 정부가 국산 밀의 품종별 매입 단가를 조정하고, 이 계획을 미리 발표함으로써 농가들이 파종 전에 비축 단가를 확인하고 품종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개편 방안의 일환이다.
이전까지는 밀 파종 이후에 비축 계획이 수립되어 다음 해 4월에야 발표되었으나, 이제 농가들의 요청에 따라 파종 전에 비축 단가를 미리 알 수 있게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2024년부터 용도별 매입 단가 차등 조정을 시작했으며, 2025년에는 제빵용 밀 1,000원/kg, 제면용 밀 950원/kg으로 조정된다. 2026년에는 제빵용 밀 1,015원/kg, 제면용 밀 900원/kg으로 단가 차이가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이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제빵용과 제면용 밀의 동일한 매입 단가 975원/kg에서 변화한 것이다.
이번 단가 조정은 밀 품종별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정부는 이러한 방향을 ’24/’25 국산 밀 비축 계획’에서 예고했으며, 지난 5월 27일 나주에서 열린 밀 비축 설명회에서도 농업인들에게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단가가 낮아지는 제면용 재배를 선호하는 일부 농가의 불만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지난 8월 26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한 생산자 및 가공업계 간담회에서는 대부분의 참석자가 수요 중심의 품종 전환을 위한 단가 조정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부의 정책 방향에 동의를 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앞으로도 농업인과 가공업체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경청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산 밀의 수요 확대를 유도하고, 품질 경쟁력 강화를 위해 품질 관리 및 균일화를 위한 밀 블렌딩(교반)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산 밀 활용 업체 대상 제품 개발 지원, 초·중·고 학생 대상 ‘국산밀 먹는 날’ 운영 등 국산 밀의 자급률 제고와 소비 기반 확대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혜택, 이제 내가 누릴 차례
한-독일, 새로운 정부 출범 후 첫 외교장관 통화… 미래 협력 강화 논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용현시장에서 빛을 발하다… 이재명 대통령 깜짝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