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국방도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한다. 미래 전장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2025 국방 지능정보화 컨퍼런스’가 지난 9월 3일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약 900명의 군,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전환(AX) 시대의 국방 디지털 혁신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하는 자리였다.
이번 컨퍼런스의 핵심 주제는 ‘AX(AI 전환, AI Transformation) 시대, 미래 전장환경 대응을 위한 국방 디지털 혁신’이었다. 오전에는 기조 강연과 함께 개회식이 진행되었으며, 오후에는 다양한 세미나 세션이 이어졌다. 행사는 2000년에 첫 개최된 이후 올해로 24회째를 맞이하며,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국방에 접목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방부 안규백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AI가 최적의 전략 수립과 지휘 결심을 지원하는 핵심 도구가 되었음을 강조했다. 또한, 수십만 병력이 아닌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전장의 승패를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언급하며 국방 지능정보화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장관은 “우리 군 역시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첨단 지능정보기술을 군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방 전반에 AI를 비롯한 첨단 과학기술을 과감히 접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컨퍼런스에서는 서울대 장병탁 AI연구원장과 무인체계 컨설턴트 윌리엄 네이션이 각각 ‘AX시대의 미래 국방 발전방향’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살펴보는 최신 전장환경’이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을 펼쳤다. 또한, 각 분야 전문가들은 AX시대의 데이터·클라우드 정책 및 제도 발전 방향과 첨단 디지털 기술의 국방 활용 방안에 대해 발표하며 미래 국방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특별히 녹서포럼 박태웅 의장은 ‘인공지능 기술의 특이점과 동향’에 대해 현장 참석자들과 소통하며 깊이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행사장 외부 로비에서는 민간의 혁신적인 기술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6개의 전시 부스가 운영되었다. 참가자들은 대화형 AI 아바타, 로봇팔을 이용한 AI 포토 부스, 메타버스로 구현한 해군함정 등을 직접 체험하며 첨단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데이터 수집, 분석, 생성 등 최신 기술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도 제공되었다.
국방부는 이번 컨퍼런스가 디지털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간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첨단 기술의 신속한 군 적용을 촉진하여 첨단과학기술 강군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