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라는 두 가지 위기에 맞설 새로운 해법이 공개된다. 오는 9월 4일, 킨텍스에서는 ‘2025 대기오염물질 배출정보관리 국제학술대회(심포지엄)’가 열린다. 올해로 6회를 맞이하는 ‘푸른 하늘의 날(9월 7일)’을 기념하여 마련된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기오염 통합관리’를 주제로,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와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동북아사무소가 힘을 합쳐 주최한다.
이 특별한 자리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몽골, 인도네시아, 태국 등 아시아 국가의 전문가들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의 대기 전문가, 그리고 국제기구 관계자까지, 총 100여 명의 국내외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이들은 총 3부로 나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을 하나로 묶어 관리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안들을 모색할 예정이다.
학술대회 1부에서는 최신 과학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기후와 대기의 복잡한 상호 연관성을 명확히 밝혀낼 것이다. 2부에서는 각 나라가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대기 정책과 그 노력들을 실제 사례와 함께 공유한다. 마지막 3부에서는 대기오염 통합 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최신 기술과 실질적인 국제 협력 방안에 대한 열띤 논의가 펼쳐질 것이다.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는 2023년부터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동북아사무소와 국제학술대회를 공동 개최하며 국제적인 협력 기반을 꾸준히 다져왔다. 특히 지난 2024년 3월에는 ‘동북아 청정대기 파트너십(NEACAP)’ 내 기술센터(TC)로 지정되어, 동북아 지역의 환경 문제 해결에 있어 기술적인 자문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동북아 청정대기 파트너십은 1992년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시작된 ‘동북아 환경협력계획(NEASPEC)’의 대기 분야 협의체로,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이 참여하고 있다. 이 파트너십 산하의 기술센터는 과학기술정책위원회(SPC) 회의 참석 및 정책 보고서 작성 등 실질적인 기술 지원을 담당하며, 현재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와 국립환경과학원, 중국 환경과학연구원이 지정되어 활동 중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세계기상기구(WMO)의 경고와도 맥을 같이 한다. WMO는 2024년 9월 발표한 ‘세계기상기구 대기질·기후보고서 제4호’에서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서로 분리될 수 없는 문제이며, 악순환을 일으킨다고 분명히 밝힌 바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빈번해지는 폭염, 폭우,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가 대기 정체를 심화시키고 광화학 반응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대기오염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오흔진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장은 이번 국제학술대회에 대해 “과학적 근거, 정책적 해법, 그리고 국제적 협력이라는 세 가지 중요한 축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라는 두 가지 위기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논의하는 매우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학술대회에서 논의된 소중한 내용들이 각국의 정책으로 실제 이어져 실질적인 환경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더 많은 이야기
‘AI, 나의 거울’ 출간, AI와의 대화로 ‘나’를 더 깊이 이해하는 새로운 통로가 열립니다.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