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 기업들이 아세안 시장 진출 시 지식재산 분야에서 더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허청이 개최한 ‘한-아세안 지식재산 심포지엄’을 통해 아세안 국가들의 지식재산 제도와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K-브랜드 보호를 위한 위조상품 유통방지 기술 전시회도 함께 열려 실질적인 보안 기술 정보까지 접할 기회가 마련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9월 1일부터 3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된 ‘제8차 한-아세안 특허청장 회의’를 부수적으로 개최되었다. 목적은 우리나라의 선진 지식재산 정책을 아세안 10개국에 소개하고, 동시에 국내 기업과 변리사들에게는 아세안의 지식재산 및 분쟁 해결 제도, 그리고 효과적인 아세안 진출 전략을 공유하는 것이었다.
특허청 김완기 청장은 개회사에서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확산이라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한국과 아세안이 시장 확대 및 다변화라는 공동의 과제를 안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지식재산 분야에서의 긴밀한 협력이 양 지역 모두에서 혁신 성장, 기술 거래 및 이전, 공정한 시장 질서 구축에 기여하며 공동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후, 캄보디아 청장이자 아세안 지식재산 협의회 의장인 수온 비찌어(Suon Vichea)의 축사를 시작으로, 국내 전문가들은 한국의 지식재산 활용 및 보호 정책과 성공 사례를 발표했다. 이에 더해 아세안 측에서는 각국의 지식재산 제도를 소개했으며, 호치민 지식재산 센터장은 아세안 시장 진출을 위한 구체적인 지식재산 전략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심포지엄과 함께 열린 전시회에서는 국내 기업들이 개발한 위조상품 유통 방지 기술들이 소개되었다. 아세안 및 국내 참석자들은 홀로그램, 워터마크, 정품 인증 라벨 등 첨단 보안 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정보통신기술(IT)과 보안 기술을 융합하여 기업 마케팅이나 유통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도 시연되어 큰 관심을 받았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이번 행사에 대해 “한국과 아세안의 지식재산 정책과 제도를 함께 논의하며 상호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었던 매우 뜻깊은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또한, “앞으로 아세안 시장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이 지식재산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 공유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더 많은 이야기
‘AI, 나의 거울’ 출간, AI와의 대화로 ‘나’를 더 깊이 이해하는 새로운 통로가 열립니다.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