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달라지는 정부 예산안을 통해 국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혜택들이 대폭 확대된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 발전과 문화 산업 육성, 수출 기업 지원 강화에 중점을 둔 이번 예산안은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AI 분야이다.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관련 예산을 51조 원에서 72조 원으로 41% 증액했다. 특히 산업, 생활, 공공 전 분야에 AI를 도입하는 데 3.3조 원에서 10.1조 원을 투입한다. 산업 분야에서는 국내 제조 역량을 활용해 로봇,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산업에 AI 대전환을 추진하며 5년간 6조 원을 투자한다. 생활 분야에서는 자동음향조절 마이크, 피부분석 화장품 추천 거울 등 생활 밀접 제품 300개의 AI 적용을 지원하는 ‘AX-Sprint 300’ 사업에 0.9조 원을 배정했다. 공공 부문에서는 3대 선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I 도입 및 확산을 지원한다.
AI 기술 인재 양성과 인프라 구축에도 힘쓴다. 전국민 AI 붐업을 위해 AI·AX 대학원을 19개교에서 24개교로 늘리고, 생성형 AI 선도 연구 과제도 5개에서 13개로 확대한다. 또한 고성능 GPU 5만 장 확보 목표를 조기 달성하고, AGI 준비 프로젝트, 피지컬 AI 선도 기술 등 미래 AI 연구 기반을 조성한다. AI 혁신 펀드 등을 통해 AI 분야 혁신 기업 창업 활성화도 지원한다.
R&D 투자와 신산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2026년 R&D 예산은 역대 최대 수준인 29.6조 원에서 35.3조 원으로 19.3% 증가한다. A·B·C·D·E·F 첨단 산업 분야 핵심 기술 개발에 8.0조 원에서 10.6조 원을 투자하며, TIPS, 사업화 보증 등 민간 수요 기반 기술 사업화도 지원한다. 더불어 100조 원+α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하여 미래 전략 산업 투자를 확대하고, 모태펀드 역대 최대 규모 출자로 유망 중소·벤처 기업의 스케일업을 돕는다.
수출 기업 지원과 통상 현안 대응도 강화된다. 대미 관세 협상 지원에 0.03조 원에서 2.1조 원으로 대폭 증액하며, 조선·반도체 등 주요 산업의 관세 협상을 지원한다. 또한 관세대응, 물류비 등 긴급지원 바우처를 제공하고, 유망 내수 기업을 수출 기업으로 육성하는 ‘K-수출스타 500’ 사업을 신설하여 마케팅·R&D 등을 지원한다.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에는 투자 보조금을 지원한다.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가속화를 위한 투자도 지속된다.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발전 설비 융자·보조를 0.5조 원에서 0.9조 원으로 확대하고, RE100 산단 및 차세대 전력망 구축에 2.8조 원에서 4.2조 원을 투입한다. 또한 전기차 전환지원금을 신설하여 내연차 폐차 또는 판매 후 전기차 전환 시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하고, 무공해차 인프라 펀드를 조성하여 보급 촉진에 나선다. 온실가스 감축 설비 도입 지원과 소규모 사업장의 측정기기 확충도 지원한다.
글로벌 문화 강국 도약을 위한 K-컬처 확산 및 수출 강화에도 예산이 집중된다. K-콘텐츠 펀드 출자를 대형 프로젝트 전략 펀드 중심으로 150억 원에서 650억 원으로 확대하고, 청년 창작자 3000명에게 1인당 900만 원을 지원한다. 글로벌 K-컬처 허브 구축을 위해 글로벌 K-존 융합 지원과 해외 문화봉사단도 신설한다. K-관광패스는 4만 명 대상 약 20%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지역사랑 휴가지원 사업은 20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여행 경비 50%를 지원한다. 또한 공연·전시 지방 순회 횟수를 약 3배 확대하여 문화 향유 기회를 넓힌다.
더 많은 이야기
‘AI, 나의 거울’ 출간, AI와의 대화로 ‘나’를 더 깊이 이해하는 새로운 통로가 열립니다.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