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이 사상 처음으로 20조 원을 돌파하며, 국민 먹거리 돌봄 강화와 농가 소득 안정 등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어린이 과일 간식 지원 재개, 직장인 대상 아침·점심 식사 지원 신규 도입, 농식품 바우처 지원 대상 확대 등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들이 눈에 띈다.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국민 먹거리 돌봄 강화’ 분야다. 초등학생 1~2학년 60만 명에게는 과일 간식 지원이 재개되어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직장인 든든한 한끼’ 사업이 신규로 시작되어 산업단지 근로자 등에게 아침 및 점심 식사를 지원한다. 이 사업에는 79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농식품 바우처 사업도 확대된다. 기존 생계급여 수급 가구 중 임산부, 영유아, 아동을 대상으로 지원하던 것에서 청년까지 대상이 넓어지고, 지원 기간 또한 10개월에서 12개월로 늘어난다. 이 사업에는 총 740억 원의 예산이 배정되었다. ‘천원의 아침밥’ 사업 역시 지원 식수인원이 450만 식에서 540만 식으로 확대되어 더 많은 대학생들이 저렴하게 아침 식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농축산물 할인 지원에는 1080억 원이 투입되어 물가 부담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농가 소득 안정을 위한 지원도 확대된다.**
친환경 농업직불금은 친환경 논, 과수·밭 면적이 약 1만 헥타르로 확대되며 407억 원이 지원된다. 수입안정보험은 지원 품목이 15개에서 20개로 늘어나고 가입률도 상향되어 2752억 원이 투입된다. 재해 복구 지원에는 2500억 원이 배정되었으며, 재해 대책비도 확대된다. 농업 인력 지원을 위해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장은 20개소, 근로자 기숙사는 5개소가 추가로 구축되며 399억 원이 지원된다. 맞춤형 농지 지원 사업에는 총 1조 8077억 원이 투입되어 비축 농지는 2500헥타르에서 4200헥타르로, 선임대·후매도 사업은 50헥타르에서 200헥타르로 확대된다.
**농업의 스마트화와 농촌 지역 발전에도 힘쓴다.**
AI 기반 농업의 스마트화를 위해 국가 농업 AX 플랫폼 구축에 705억 원이 신규로 투자된다. 주요 작물 주산지 5개소에는 노지 스마트농업 ICT 융복합 기술 확산에 103억 원이 지원되며, 30개 AI 제품 개발에는 최대 30억 원이 지원된다. 농업 분야 R&D 투자도 2612억 원으로 대폭 확대되며, 농식품 수출 지원을 위해 수출 바우처 사업 대상이 360개소에서 720개소로 확대된다.
농촌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해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이 신규로 추진되며, 인구 감소 지역 6개 군에 거주하는 주민에게 월 15만 원이 지급된다. 이를 위해 1703억 원이 투입된다. 농촌 공간 정비 사업도 15개소 추가 지원된다. 또한, 농촌 빈집 철거를 위해 약 1300호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며 105억 원이 투입된다. 여성 농업인을 위한 특수 건강검진 대상 인원은 5만 명에서 8만 명으로 확대되고, 이에 96억 원이 사용된다. 농촌 지역 복지 지원에는 1712억 원이 투입되어 왕진 버스 이용 인원이 15만 명에서 18만 명으로 확대되고, 농업인 연금보험료 기준소득금액도 월 103만 원에서 106만 원으로 조정된다.
**반려동물 복지와 동물 안전 관리도 강화된다.**
반려동물 복지 강화를 위해 120억 원이 투입되어 동물복지 인식 개선과 은퇴 국가 봉사 동물 입양 지원이 이루어진다. 길고양이 중성화 수술은 11.2만 마리에서 12.3만 마리로 확대된다. 동물의료 및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35억 원이 투자되어 동물보건사·행동지도사 인력 양성과 기질평가시설 1개소가 추가된다. 반려동물 연관 산업 육성을 위해 One-Welfare Valley 조성에 71억 원이 지원된다.
더 많은 이야기
‘AI, 나의 거울’ 출간, AI와의 대화로 ‘나’를 더 깊이 이해하는 새로운 통로가 열립니다.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