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가 더욱 확대되고,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가정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5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에 따르면, 2024년 기준 15세에서 64세 사이의 고용률 상승폭이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크게 나타났다. 특히 18세 미만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의 비율 역시 2015년 대비 크게 증가하여,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이 통계는 인구와 가구, 노동시장, 일생활 균형, 의사결정 등 총 9개 영역과 44개 지표를 통해 남녀의 변화된 삶의 모습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특히, 이번 자료는 제30회 양성평등주간(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을 기념하여 발표되었으며, 여성가족부는 각 부처에서 공표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작성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24년 15세에서 64세 인구의 고용률 상승폭에서 여성이 6.4%p 증가한 반면, 남성은 0.9%p 증가에 그쳐 여성의 고용률 상승세가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가 이전보다 활발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의 비율은 2024년 58.5%로, 2015년 대비 11.3%p 증가했다. 이는 과거에 비해 맞벌이 가구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많은 가정이 일과 육아를 병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1인 가구의 경우, 남성은 30대가 2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여성은 60대가 18.7%로 가장 많았다. 이는 남녀 모두에서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연령대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번 발표는 남녀의 삶에 대한 통계적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남녀의 실질적인 삶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많은 이야기
미국 조지아주 우리 기업 단속, ‘3백여 명’ 국민 보호 총력 대응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정부의 성공 추진 당부로 사업 속도 낸다
청년 예술가 지원 확대, 창작 활동에 날개 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