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전국 어디든 지하수가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환경부가 36년간의 노력을 기울여 전국 지하수 지도를 완성하고, 이를 기념하는 선포식을 개최한다. 이번 지하수 지도 완성으로 국민들은 지하수 정보를 보다 쉽게 얻고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번에 완성된 전국 지하수 지도는 지하수의 부존 특성, 지하수 수위 및 수질 특성 등을 담고 있어 지하수 이용 및 관리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1990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지하수법’ 제정 및 시행을 거쳐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이 사업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지하수 전문기관들이 힘을 합쳐 36년간 전국 167개 지역을 조사한 결과물이다.
환경부는 이달 3일 서울 건설회관에서 ‘지하수 기초조사 완료 선포식’을 열어 이 사업의 완료를 공식적으로 알렸다. 선포식에서는 36년간의 조사 과정을 담은 기념 영상 상영과 공연 등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되었다. 또한, 지하수 기초조사 사업에 기여한 유공자 5명에 대한 표창과 더불어, ‘대국민 지하수 빅데이터 공모전’ 수상자 7개 팀에 대한 시상도 함께 진행되었다.
‘대국민 지하수 빅데이터 공모전’은 전국에서 축적된 지하수 기초조사 자료와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빅데이터 분석 성과를 발굴하기 위해 올해 6월 25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총 56건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엄격한 서류 및 발표 심사를 거쳐 최종 수상작이 선정되었다. 이날 선포식에서는 이들 수상작을 포함한 14개 출품작이 전시되어 일반 국민들의 관심을 끌었다.
환경부 김효정 물이용정책관은 “서울에서 제주까지 전국 지하수 물길 지도가 완성된 것은 큰 성과”라며, “앞으로는 유역별 조사로 전환하여 통합 물 관리의 기반을 더욱 튼튼히 다질 것”이라고 밝혔다.
더 많은 이야기
대통령과 만난 어린이들의 생생한 목소리, 우리 아이들도 대통령에게 직접 이야기할 수 있다!
몽골과 관계 더욱 깊어진다… 35년간 발전 협력, 새 시대 동반자 관계 시작
K-제조업 재도약 전략으로 AI 대전환 시대, 시민의 ‘AI 활용 능력’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