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더욱 정확한 대기질 정보를 통해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9월 2일부터 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제16차 환경위성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세계 각국의 환경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북반구 대기오염물질을 동시 관측하는 공동연구 계획을 논의하는 자리인데요, 이를 통해 우리는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대기질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즉, 미세먼지 걱정 없이 건강한 삶을 누리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대상은 바로 우리 모두입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20년 세계 최초로 발사된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을 통해 아시아 전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관측하고 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GEMS 뿐만 아니라, 2023년 미국이 발사한 TEMPO(북미 지역 대기오염물질 감시 위성)와 올해 7월 유럽이 발사한 Sentinel-4(유럽 지역 대기오염물질 감시 위성) 등의 자료를 활용한 연구 결과도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들 위성은 서로 다른 지역의 대기질을 감시하지만, 이번 학술대회에서 이뤄지는 협력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전 지구적인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러한 협력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3개 위성 간의 공동연구 계획을 논의합니다. 이는 곧 더욱 정확하고 광범위한 대기질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 우주국(ESA), 독일 항공우주센터(GAC),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이사회(UN ESCAP) 등 20여 개 기관이 참석하여 환경위성 기반의 오존 및 전구물질(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관측, 환경위성 현황과 위성 활용,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유발물질 관리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100여 명의 연구진들이 참여하는 만큼, 향후 대기질 개선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학술대회 첫째 날에는 연세대학교 김준 교수, 유럽 우주국 클라우스 제너 박사, 캐나다 요크대학교 톰 맥클로이 교수 등이 환경위성의 연구 성과와 향후 계획, 유럽의 저궤도 환경위성인 센티넬-5P 위성의 운영 현황, 환경위성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얻은 과학적인 시사점에 대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다양한 전문가들의 발표를 통해 얻어진 정보는 국민들에게 더욱 정확하고 유용한 대기질 정보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것입니다.
이번 국제 학술대회를 통해 얻어지는 성과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국제 협력을 통해 전 지구적인 대기오염물질 감시 및 관리 체계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환경과학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술대회는 9월 2일부터 4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되며, 참석기관은 국립환경과학원,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 우주국(ESA), 독일 항공우주센터(GAC),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이사회(UN ESCAP) 등입니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