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6일
외국인 주택 구매, 비자 조건 및 자금 조달 의무 부과…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파란 효과

외국인 주택 구매, 비자 조건 및 자금 조달 의무 부과…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파란 효과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새로운 규제가 적용될 예정이다. 최근 발표된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비자 소지자 및 실거주하지 않는 외국인의 수도권 내 주택 구입이 제한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시장에 상당한 파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규제는 외국인의 투자 목적 부동산 투자를 억제하고, 국내 실수요자에게만 부동산 구매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존의 부동산 구매 규제 외에도, 이번 발표는 외국인의 주택 구매에 더욱 엄격한 조건을 부과한다. 특히 주택거래 허가일 이후 4개월 이내 입주해야 하며, 실거주 2년 의무를 부과한다. 이는 외국인이 단순 투기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하고, 곧바로 되파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외국인이 주택을 구매하려면 먼저 구체적인 자금 조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자금 출처를 명확하게 입증하고, 필요한 경우 해외 자금 출처를 신고해야 한다. 또한, 비자 유형에 따라 자금 조달 방법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취업 비자 소지자의 경우, 국내 취업 관련 자금으로 주택을 구매해야 하며, 투자 비자 소지자의 경우, 국내 투자 관련 자금으로 주택을 구매해야 한다.

더 나아가, 해외자금 출처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특히 불법자금이나 탈세와 관련된 의혹이 있는 경우, 해당 사실이 적발될 경우 즉시 해외 당국에 통보될 수 있다. 이는 국제적인 공조를 통해 불법적인 자금 흐름을 차단하고, 투명한 부동산 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규제는 외국인의 투기적인 부동산 투자를 억제하고, 국내 실수요자에게만 부동산 구매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건강한 부동산 시장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러한 규제 변화는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고가 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 실수요자들은 주택 구매 시 비자 조건 및 자금 조달 의무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자료 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