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최근 5대 금융그룹과 국책은행을 대상으로 미국발 관세 대응 방안에 대한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라는 보도 내용에 대해, 해당 논의가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금융위는 다음달 3일 5대 금융 그룹의 최고재무책임자(CFO)들과 간담회를 통해 미국발 관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간담회는 미국 정부가 최근 발효한 4차 관세 부과와 관련하여 금융권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금융권에서는 5대 금융을 중심으로 약 60조원 규모의 자금 지원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와 관련하여 금융위에서도 관련 금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자금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5대 금융그룹의 지원 규모를 합치면 총 약 86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만큼, 금융위는 미국발 관세에 따른 금융권의 유동성 위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금융위는 미국발 관세 부과로 인해 한국 수출 기업들의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금융 지원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또한 5대 금융에 이어 국책은행들의 추가적인 지원 계획이 제출될 경우, 총 지원 규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금융위는 미국발 관세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금융권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한국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미국발 관세에 대한 금융권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향후 미국 정부의 추가적인 조치와 한국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02-2100-2832)로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연락 가능하다. (자료 제공: www.korea.kr)
더 많은 이야기
미국 조지아주 우리 기업 단속, ‘3백여 명’ 국민 보호 총력 대응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정부의 성공 추진 당부로 사업 속도 낸다
청년 예술가 지원 확대, 창작 활동에 날개 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