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이 목재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물질흐름분석(MFA)’ 기반의 혁신적인 분석 모델을 개발하여,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데이터 분석을 넘어, 탄소 흐름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자원 관리 시스템 구축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번 연구는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 목재산업연구과에 소속된 김민지 박사 연구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진은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목재 이용 현황과, 더욱 효과적인 자원 관리를 위해 보완이 필요한 통계 항목(부산물 용도, 재활용률 등)을 면밀하게 분석했다. 특히, 목재의 탄소 흐름까지 구명할 수 있는 물질흐름분석(MFA) 방법을 적용하여, 목재 자원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 전략을 제시했다.
물질흐름분석(MFA)은 물질의 투입과 생산, 그리고 이용과 폐기의 전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각 단계별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까지 고려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자원 관리 수단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자체 구축한 LCI(Life Cycle Inventory)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목재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LCI는 제품 시스템의 전 과정에 걸친 투입물과 산출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목록화하는 방법으로, 제품의 전체적인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연구진은 국내 목재의 탄소 흐름도를 확인하며, 목재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탄소 중립을 위한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데이터 분석을 넘어, 환경적 부담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을 위한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특히, LCI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으로써,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산 목재의 환경가치를 반영한 전 과정 물질흐름 분석 모델 개발」이라는 보고서에 상세히 수록되어 있으며,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다. 김민지 박사는 “이번 연구는 목재자원 관리의 새로운 기틀을 마련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목재 시장을 전망하는 도구로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 연구는 단순한 데이터 분석을 넘어, 미래 시대에 필요한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 시스템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많은 이야기
SK AX, AI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제조 유틸리티 설비 운영 혁신… 생산성 20% 향상 기대
AI 기반 치아교정 솔루션 ‘닥터덴트AI’, 시뮬레이션 서비스 오픈으로 혁신적 진료 모드 제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문기업 투라인클라우드, NHN크로센트 DaaS 사업부 인수 및 브랜드 리뉴얼로 시장 영향력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