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수목원의 국제 협력이 중앙아시아 생물 다양성 보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국립수목원은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접경지역에 위치한 ‘쇼르수브(Shorsuv) 대지’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국가 보호구역 지정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국립수목원을 포함한 우즈베키스탄 식물연구소, 창원대학교, 켄트대학교 등 3개국 연구진이 협력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쇼르수브 지역은 희귀 및 위협 식물종이 다수 분포하고 있었으며, 독특하고 제한된 서식지를 갖춘 지역으로 평가되어 ‘중요식물보호구역(IPA, Important Plant Area)’ 지정 기준인 A(위협 식물종 존재) 및 C(위협 서식지 존재)를 동시에 충족했다. 총 349종의 관속식물이 기록되었으며, 이 중 42종은 멸종위기 식물종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진은 현장조사와 위성정보, IUCN 기준에 따른 종 보전 평가를 종합해 쇼르수브 지역이 식물다양성 보전의 핵심지임을 제시했다.
쇼르수브 대지는 석고와 석회석 자원이 풍부해 현재까지도 대규모 노천채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생 훼손과 서식지 단절이 심화되고 있다. 과거 소련 시절 중단되었던 채광이 최근 재개되면서, 해당 지역의 다채로운 노출암 지형 식생은 중대한 보전 위협에 처해 있는 지역으로 더욱 심각한 상황에 놓였다. 이처럼 취약한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이 고조된 상황에서, 국립수목원의 국제 공동 연구는 시의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대통령령(PP-171호)에 따라 쇼르수브 지역을 포함한 10만 헥타르의 면적을 국가 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이는 IPA 과학적 연구가 실제 정책으로 반영된 대표 사례로 평가되며, 국립수목원과 중앙아시아 4개국이 함께하는 ‘중앙아시아 생물다양성 보전 네트워크(CABCN)’ 및 ‘중앙아시아 그린로드 프로젝트’ 사업의 성공적인 모델을 보여준다.
국립수목원 임영석 원장은 “이번 연구는 중앙아시아 식물 보전의 새로운 이정표로, 현장 중심의 데이터 축적과 정책 반영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국립수목원은 앞으로도 다양한 국제 협력을 통해 생물다양성 위기지역에 대한 보전 모델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연구는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더 많은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