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5일

해양수산부, 부산항에 국산 무탄소 하역장비 보급… 탄소 배출 감축 기여

해양수산부, 부산항에 국산 무탄소 하역장비 보급… 탄소 배출 감축 기여 관련 이미지

해양수산부에서 부산항 신항에 국산 무탄소 하역장비를 도입하여 항만 내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다. 해양수산부는 9월 12일 부산항 신항에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들을 대상으로 해당 사업 관련 간담회를 개최하고,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의 도입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최근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발맞춰 항만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해양수산부의 적극적인 노력의 일환이다. 기존의 경유 또는 LNG 동력 야드트랙터를 국산 무탄소(전기) 장비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해당 프로젝트는 단순한 비용 지원을 넘어 미래 항만 운영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간담회에서는 7월부터 부산항 신항 4부두에서 진행된 실제 운전을 통한 실증 테스트의 성과가 공유될 예정이다. 이 실증 테스트는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의 성능과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 충전 편의성 등 실제 부두 환경에서 장비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검증하는 데 활용되었다. 특히, 배터리 안전성은 항만 내 운행에 있어 핵심적인 고려 사항이므로, 이번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장비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9월 19일부터는 공모를 통해 지원을 받을 부두 운영사를 모집하고, 해당 운영사들에게 장비 도입 비용의 50%를 지원할 계획이다. 국비 25%, 항만공사 25%로 구성된 지원금은 해당 운영사들이 국산 전기 야드트랙터를 도입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친환경 항만 전환을 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강화되는 환경 규제 속에서 항만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서는 하역장비의 친환경 전환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금번 지원사업이 마중물이 되어 친환경 항만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부산항 신항에 도입되는 국산 무탄소 하역장비는 단순히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항만 운영 시스템 구축의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