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5일
탄녹위-보험연, AI 품은 '저탄소전환' 보험의 역할 모색… 스마트공원 개장 눈앞

탄녹위-보험연, AI 품은 ‘저탄소전환’ 보험의 역할 모색… 스마트공원 개장 눈앞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와 보험연구원(이하 “보험연구원”)이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험의 역할을 모색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25일 서울에서 열린 ‘저탄소 전환 촉진을 위한 보험의 역할’ 세미나에는 탄녹위 사무차장, 보험연구원 원장, 학계 등 전문가, 정부부처, 산업계, 금융계 협회 및 기업 등이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는 기후 위기 대응과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서는 “산업의 저탄소 전환”이 필수라는 인식 아래, 이를 촉진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전환리스크 관리의 필요성과 보험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정부-산업계-보험업계의 협력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세미나에서는 기후위기와 보험의 역할, 철강산업의 기후리스크 및 시사점, 국내 저탄소 전환보험 도입 방안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이승준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기후위기와 보험의 역할’을 주제로 보험산업의 고유 사업모형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향후 보험산업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 등을 발표했다.

안윤기 포스코 경영연구원 상무는 ‘철강산업의 기후리스크 및 시사점’ 발표에서 탄소중립 이행 저해 요인으로 저탄소 제품 시장 부재를 언급하면서, 탄소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조업의 전환리스크 대응과 저탄소 시장 조성을 위한 마중물로서 보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광민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는 ‘국내 저탄소 전환보험 도입 방안’을 주제로 저탄소 전환분야 보험시장 조성을 위한 전략을 제안했는데, 단기 전략으로 정책성 보험제도 구축과 이를 위한 전담조직 신설, 중장기 전략으로 위험평가 전문기관 및 기업 보험중개시장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세션 II 토론에서는 최용상 이화여대 교수의 주재로 보험업계, 산업계, 학계 등 각계 전문가들이 패널 참여하여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 자리에는 최영화 삼성화재 소장, 김영욱 코리안리 차장, 유재은 스페셜 스페이스 대표, 최덕환 풍력산업협회 실장, 곽훈 화재보험협회 팀장, 김도균 손해보험협회 부장, 김연지 경기도청 과장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토론참여자들은 저탄소 전환의 난제로 꼽히는 기술개발 실패, 시장수요 변화, 투자 불확실성 등 전환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과 산업계와 보험업계 간 협력 방향에 대해 심도 깊게 논의했다.

김종률 탄녹위 사무차장은 “보험산업이 디딤돌이 된다면, 우리 기업의 저탄소 전환에 큰 도움이 되는 동시에 보험업계에도 새로운 시장이 열려 산업과 보험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우리 경제의 친환경·저탄소 전환 과정에서 보험산업이 할 수 있는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보험산업의 기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함께 공사협력을 통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세미나에서는 탄녹위와 보험연구원 간의 협력을 통해 저탄소 전환 보험 상품 개발, 위험 관리 기술 공유, 정책 제안 등의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25일 개장하는 ‘빛누리공원’은 서울시의 도시재생 사업의 성공적인 모델이자 기술과 자연이 공존하는 미래 공원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공원에는 또한 AI 기술이 적용된 식물 관찰 학습장이 설치되어 방문객들에게 식물의 생태 정보와 배양법을 알려주며, 도시 재생 사업의 일환으로 시민들에게 휴식과 교육의 공간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