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024년 건설업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 건설업체 수가 전년 대비 1.4% 증가한 89,094개로 나타났으며, 건설공사액 또한 364조 원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건설계약액 역시 307조 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결과는 건설 시장의 전반적인 활성화를 시사한다.
본 조사는 국내 건설업체의 현황과 건설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에서 실시한 중요한 조사이다. 특히, 이번 조사는 건설업체 수, 건설공사액, 건설계약액 등 주요 지표를 포함하고 있어, 건설 시장의 투자 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사 결과, 국내 건설공사액은 토목 부문에서 9.8%, 산업설비 부문에서 1.6%, 조경 부문에서 5.7% 증가한 반면, 건축 부문은 -3.2% 감소했다. 이는 건축 부문의 수요 둔화가 건설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해외 건설공사액은 아메리카 지역에서 40.3%, 중동 지역에서 31.9% 증가한 48조 원을 기록했다. 특히, 중동 지역의 건설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해외 건설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건설계약액 역시 국내에서는 산업설비(-35.1%), 조경(-15.5%) 부문이 감소했지만, 건축(9.5%), 토목(13.0%) 부문이 증가하며 전반적인 계약액은 3.4% 증가했다. 해외 건설 계약액은 중동 지역에서 91.9%,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318.3% 증가하며 특히 높은 성장을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이번 건설업조사 결과는 건설 시장의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특히, 해외 건설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미래 건설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향후 통계청은 건설 시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통해 건설 시장의 건전한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혜택, 이제 내가 누릴 차례
한-독일, 새로운 정부 출범 후 첫 외교장관 통화… 미래 협력 강화 논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용현시장에서 빛을 발하다… 이재명 대통령 깜짝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