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핵심 이념인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진짜 대한민국’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 구축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지난 2021년 11월 발표한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현 계획’의 일환으로, 사회공헌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플랫폼 구축 사업은 총 3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 채널’ 구축과, 사회공헌 기업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사회공헌 지원 시스템’ 운영이다.
특히, 플랫폼은 단순히 의견을 수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들이 직접 정책 제안에 참여하고 전문가, 기업 등 다양한 주체들과 협력하여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플랫폼을 통해 제안된 아이디어는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에 전달되어, 정책 결정에 반영될 수 있으며, 성공적인 사례는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된다.
또한, 플랫폼은 사회공헌 기업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회공헌 기업들은 플랫폼을 통해 자원봉사자 모집, 활동 정보 공유, 성과 측정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정부는 플랫폼을 통해 사회공헌 기업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그들의 성과를 측정하여 정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리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시민들의 목소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경청하고, 시민들이 직접 정책에 참여하여 만들어가는 정부를 실현해야 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이 디지털 플랫폼은 단순히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함께 만들어가는 정부의 비전을 제시할 것입니다.”라고 강조했다.
플랫폼은 향후 3단계로 구축될 계획이다. 1단계는 기본적인 기능(온라인 커뮤니티, 정책 제안 게시판, 전문가 상담 채널 등)을 구축하는 것이다. 2단계는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서비스 및 빅데이터 분석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3단계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참여를 더욱 활성화하고, 플랫폼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현재 정부는 사회공헌 기업, 시민단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플랫폼 구축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운영위원회는 플랫폼의 기능, 운영 방식, 참여 기준 등을 결정하고, 플랫폼의 성공적인 구축과 운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이번 플랫폼 구축 사업을 통해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현의 기반을 마련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번 플랫폼 구축 사업은 다른 나라의 디지털 정부 구축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의 디지털 정부 구현을 위한 로드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이야기
보건복지부 제1차관, 부천시 ‘돌봄통합지원’ 시범사업 현장 방문… 2026년 시행 앞두고 의견 청취
영양군, AI 기반의 ‘맛있는 동행’ 프로젝트 추진…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주민 만족도 증대 기대
고용노동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력하는 ‘컬렉티브 임팩트’ 창출 위한 포럼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