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오후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사회적 재난으로 떠오른 자살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특히,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즉 인구 10만 명당 28.3명이 자살을 선택하는 상황은 OECD 국가 중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은 극단적 선택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자살 대책 추진 기구를 설치·운영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번 지시는 자살 위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하기 위한 다각적 접근을 강조한다. 우울증 등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신속한 치료비 지원과 위기 개입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온라인 상에서 확인되는 자살 위험 신호를 신속히 탐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것을 주문하였다. 이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위험 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평가된다.
향후 정부는 이러한 지침에 따라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자살률을 낮추고 국민의 정신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대책은 단순한 지원에 그치지 않고, 예방적 차원에서의 종합적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더 많은 이야기
보건복지부 제1차관, 부천시 ‘돌봄통합지원’ 시범사업 현장 방문… 2026년 시행 앞두고 의견 청취
영양군, AI 기반의 ‘맛있는 동행’ 프로젝트 추진…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주민 만족도 증대 기대
고용노동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력하는 ‘컬렉티브 임팩트’ 창출 위한 포럼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