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은 최근 중대재해의 심각성이 부각됨에 따라 수탁자책임활동의 개선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했다. 8월 21일 열린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에서는 ‘2024년 국민연금기금 수탁자 책임활동 연차보고서’를 보고받으며, 중대재해가 기업의 장기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검토했다.
이번 논의는 특히 산업안전 분야의 ESG 평가 지표의 적절성을 점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국민연금은 매년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투자 결정을 내리고 있으며, 이 중 ‘산업안전’ 분야는 4개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안전보건시스템 구축 여부, 산업안전보건 전담 조직 운영, 외부 인증 획득, 그리고 산재다발사업장 지정 여부가 포함된다.
또한 2023년에는 중대재해 위험이 높은 기업들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0개 기업에 서한을 발송하고 비공개 면담을 진행하는 등 총 18회의 대화를 진행했다. 이러한 노력은 중대재해가 기업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위원회에서는 중대재해 관련 대응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으며, 향후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민연금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기대된다.
더 많은 이야기
보건복지부 제1차관, 부천시 ‘돌봄통합지원’ 시범사업 현장 방문… 2026년 시행 앞두고 의견 청취
영양군, AI 기반의 ‘맛있는 동행’ 프로젝트 추진…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주민 만족도 증대 기대
고용노동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력하는 ‘컬렉티브 임팩트’ 창출 위한 포럼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