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8월 20일 서울 포스트타워에서 제4차 「2025 개인정보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최신 개인정보 보호 기술과 디지털 통상 관련 이슈가 다뤄졌다.
포럼에는 숭실대 AI안전성연구센터의 최대선 위원이 참석해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을 소개했다. 그는 원본 이미지와 음성에 노이즈를 주입해 딥페이크와 딥보이를 방지하는 기술을 설명했다. 또한 인공지능 모델을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데이터 생성 장치에서 실행하는 기술의 프라이버시 위협을 논의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이규엽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팀장이 한미 디지털 통상 현안을 다루었다. 개인정보 국외이전 문제와 관련된 산업계의 의견을 공유하며, 미국·EU의 데이터 정책을 고려한 중장기적 디지털 통상정책 방향을 제언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향후 미국과 주요국 간 안전한 데이터 이전 체계 구축과 표준계약조항 도입을 통해 국제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더 많은 이야기
보건복지부 제1차관, 부천시 ‘돌봄통합지원’ 시범사업 현장 방문… 2026년 시행 앞두고 의견 청취
영양군, AI 기반의 ‘맛있는 동행’ 프로젝트 추진…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주민 만족도 증대 기대
고용노동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력하는 ‘컬렉티브 임팩트’ 창출 위한 포럼 개최